후명치에 통증이? 담석증 식사

식후에 명치 아프신 분들은 오늘 포스팅을 잘 보세요. 식후에 명치 통증이 생기게 되면 혹시 담석증일 수도 있습니다. 담석에 석회가 생기는 질병을 담석증이라고 하는데, 담석증의 절반은 특별한 증상이 나타나지 않습니다. 가장 뚜렷한 통증이 식후에 명치 통증이 나타날 수 있는 것입니다.

담석증의 담낭이라고 하는 담낭은 간 바로 아래에 있는 작은 주머니입니다.담즙은 지방의 소활을 돕는 것으로 간에서 생성된 후 담낭 속에 저장되며 식사시 담낭은 수축하여 총담관이라고 불리는 관으로 이동합니다. 십이지장에 담즙이 배출되어 음식물의 소화를 촉진합니다. 이렇게 간에서 만들어진 소화액이 저장이 되어 있는 것이 담낭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이 소화액이 굳어 버려 돌처럼 된 것을 담석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담석은 담낭 뿐만 아니라 담관이나 간 속의 담도에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 중 60%는 아무 증상도 없어요. 스스로도 담석이 있는지 없는지 식사를 시작하고 약 30분 전후에 통증이 시작되어 2, 3시간 정도 계속되면 서서히 사라집니다. 통증의 강도는 오른쪽 갈비뼈 아래에서 뻐근한 느낌이 듭니다. 심한 명치 통증까지 구역질, 구토를 동반하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등 쪽에 통증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여성에게 많이 발생한다고 하는데 당뇨병일 경우 담석증이나 소실 확률이 높아집니다. 가족력이 있을 경우 담석증이 더 나타나기 쉽습니다. 혈중 중성지방의 엇갈림이 높고, 단기간에 체중이 많이 줄면 담석증의 확률도 높아집니다. 중년, 비만도 위험인자에 속합니다.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으나 담즙성분의 변화, 담즙 정체, 감염에 의한 결석 형성, 유전적 원인 등이 위험인자로 지목되고 있습니다.

담낭이 아니라 담관에 결석이 생기면 황달 증상도 동반될 수 있습니다. 간염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담석증은 아주 치명적인 질환입니다.

담즙은 하루 500ml에서 1200ml 정도 생성된다고 합니다. 물, 콜레스테롤, 지방, 담즙산염, 단백질, 빌리루빈 등을 포함하고 있다고 합니다. 담즙산염은 지방을 분해하는 역할을 하며, 빌리루빈은 담즙, 대변이 노랗고 갈색을 띕니다. 만약 액체 담즙이 너무 많은 콜레스테롤, 담즙산염, 빌리루빈 등을 포함하면 딱딱해져서 담석이 되는 것입니다.

담석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동통발작을 예방하거나 치료 후 담석증의 재발을 방지해야 합니다. 한식 형태의 밥을 먹는 것이 담석증을 예방하는 방법이래요. 서구화된 식사 형태는 담석증을 초래할 수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골고루 먹어도 너무 많은 양을 섭취하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생활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외식이 잦아지고 자연적으로 기름이 많아지면 담석증이 발생할 확률이 높아집니다.

담석증이 이미 있다면 지방 섭취를 제한해야 합니다. 비타민이나 무기질을 적절히 섭취하는 식이 요법이 필요합니다. 식사 원칙을 준수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하지만 장시간 지방 섭취량을 줄이면 영양 상태가 나빠져 오히려 건강에 해가 되는 것입니다. 조리 시 기름을 적당히 사용하여 어육을 적당히 먹는 것이 좋네요.

한의학적으로는 체내의 열과 수분을 처리함으로써 간에 있는 기, 혈의 순환을 촉진합니다. 이담하는 작용이 있는 처방을 하는 방법을 쓴대요.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