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DL이 나쁜 놈이라고? 고지혈증의 음모(4)_총콜레스테롤이 아닌,

지금까지 고지방 식사를 하면 고지혈증이 걸리고 고지혈증이 혈관을 막거나 터져서 뇌중풍(뇌졸중)이나 심장마비에 걸린다는 지방 가설의 문제점을 말씀드렸습니다.

이 가설은, 2008년의 약 17만명의 일본인 자료를 기준으로, 「콜레스테롤 200240명의 사람이 가장 사망률이 낮았다」라고 하는 연구 결과에 의해, 오류를 확인했습니다.

저는 지난 시간 최근 2019년 관동의대에서 1,281만 명의 10년간 추적연구 결과를 보고 이것이 일본에서 연구한 것과 거의 같다는 것을 확인하고 총 콜레스테롤을 함부로 낮추는 것이 얼마나 위험한지를 다시 한번 확인하였습니다.

이 정도면 콜레스테롤이 침묵의 살인자라는 누명을 벗어도 되겠지만, 한번 만들어진 프레임은 쉽게 이렇게 끝나지 않습니다.

이자료를보고무엇을아시는분들은이렇게이야길할수있습니다.

총콜레스테롤이 문제가 아니라 LDL이 문제라고 하던데?한국인의 이상지질혈증 기준 대구 수성구 저탄고지 행복한 재활의학과 한국지질동맥경화학회 진료지침에는 총 콜레스테롤은 200이하 LDL은 130이하, 중성지방은 150이하, HDL은 40~60을 기준으로 설정하고 있습니다.

총콜레스테롤을 낮춰도 사망률이 줄기는커녕 더 늘어난다는 것은 일본 연구와 최근 대규모 한국인 연구에서 이미 밝혀진 내용입니다.

다음은 한국인의 LDL 농도에 따른 치료 기준입니다. “기존의 의료 체계에서 환자의 개인적 위험 수준에 따른 LDL 농도를 규정하고 있으며, 가장 위험한 그룹은 심장혈관질환이나 뇌졸중 같은 혈관질환에 걸린 사람들을 가리키며 LDL을 70이하로 낮추라고 합니다”

그러나 심장혈관질환이나 뇌졸중과 같은 심혈관계질환을 일으킨 사람의 병력을 살펴보면 절반 이상이 위에 설정된 주류의학계의 고지혈증 기준으로는 완벽한 정상수준이라고 합니다. 이상하지 않아요?

심혈관계질환이 발병했을 때 고지혈증이 있을 확률이 반, 없을 확률이 반?대구 수성구의 저탄고지에서 행복한 재활의학과 심혈관계 질환이 발병할 경우 고지혈증이 있을 확률이 절반, 없을 확률이 절반이라는 것입니다. 그러면 주류의학계의 고지혈증이 정말 심혈관계 질환을 일으킨다는 이야기는 도대체 말이 됩니까? 이거는 마치 ‘이 세상에서 악한 자의 절반은 남자고 절반은 여자다.’ 이렇게 말하는 거랑 뭐가 달라요?

제가 뇌졸중 환자를 치료한 10여 년 전에는 환자의 총 콜레스테롤을 낮추기 위해 무진장한 노력을 했습니다.뇌중풍(뇌졸중) 환자들이 고지혈증이 있으면 당연히 콜레스테롤을 낮추기 위해 고지혈증제 스타틴을 사용했죠.그리고 그 중 절반 정도가 고지혈증이 아닌 상태였던 것 같습니다. 그러나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위험요인이 있는 환자는 콜레스테롤을 일반인에 해당하는 기준치보다 절반 정도로 낮춰야 하기 때문에 뇌중풍(뇌졸중) 환자 중 콜레스테롤이 정상인 사람에게도 고지혈증 약을 사용했습니다.그래서 뇌졸중 환자는 총 콜레스테롤이 130에서 그 이하 수준까지 낮추도록 관리를 한 것입니다.

그러면 거의 모든 뇌졸중 환자는 고지혈증 약을 먹지 않으면 안 되는 것입니다. 이게 말이 됩니까?고지혈증이 있으면 약을 먹고, 고지혈증이 없어도 약을 먹으라고 하는 것입니다. 위험하니까요. ㅜ.ㅜ.(콜레스테롤이 너무 낮으면 사망률이 급격히 높아진다는 연구는 아예 눈에 보이지 않던 시절입니다.) 솔직히 말하면 그때는 그런 논문이 있는지조차 몰랐습니다. ㅠ.ㅠ )

그래서 고지혈증의 분류를 위험 요인이 있는 사람과 없는 사람으로 나눈 것입니까? 사실 전 세계에 고지혈증 약을 영양제처럼 매일 먹이고 싶은데, 거기에는 안색이 좋기 때문에 일반인들 중에는 기준 이상이면 먹이고, 심장마비나 뇌졸중이 있는 사람에게는 고지혈증이 있든 없든, 무조건 약을 먹여서 자신들이 정한 기준보다 훨씬 낮은 콜레스테롤을 떨어뜨리는 것을 평생 숙제로 삼을 수 있는 것입니까? 도대체 왜 이러는 거죠?

일반인에게 약을 더 먹이려면 기준만 좀 낮춰주시면 됩니다. 이상 지질 혈증도 그렇고 고혈압도 그렇고 옛날보다 기준치가 점점 낮아지고 있어요. 이런 대사 증후군 관련 질병은 보통 중년 이상의 환자가 많습니다. 그러나 기준을 낮추면 젊은 층도 환자가 계속 될 수 있습니다. 이 사이에 대체 누구를 좋아하게 되는 걸까요? 사망률은 확실히 줄어들지 않습니다. 앞으로도 기준은 계속 낮아질 거라고 생각합니다. 마케팅의 가장 기본은 어릴 때 잡는 거예요. 어렸을 때부터 이런 거대 제약 회사가 자신의 몸을 넘어서게 되는 것입니다.

이쯤 되면 지방 가설에 대한 집착이 정말 뿌리 깊은 생각이 듭니다.LDL이 나쁜 놈이라고 말하기 전에 총콜레스테롤을 낮춰야 한다고 지금까지 약을 팔아먹은 놈들이 나쁜 놈이라고 왜 말 못하지?설령 주류학계의 말을 그대로 따른다고 칩시다. 총콜레스테롤이 문제가 아니라 LDL이 문제가 됐다 하더라도 적어도 수십 년간 총콜레스테롤을 낮춰 심혈관질환을 줄이고 사망률을 낮추려던 주류 의학계의 시도가 실패로 돌아간 데 대한 사과가 우선되어야 하지 않을까요? 진심 어린 사과도 없이 기준을 바꿔 지금 LDL이 문제라면 그 말을 믿을 수 있겠습니까?

분명 10년 전만 해도 제가 뇌졸중 환자의 재활을 할 때 확실히 가이드라인대로 위험인자가 있는 환자는 총콜레스테롤을 160이하로 낮추기 위해 약도 사용하여 지방이 있는 식사를 제한했음에도 불구하고 재활치료를 한 결과가 별로 좋지 않았던 경험이 많습니다. 선량한 의도로 가이드라인에 따른 의사와 무지로 인한 피해는 모두 환자의 책임이 됩니다. 그런데 그동안 문제에 대한 사과와 반성 없이 다시 LDL을 악당으로 만들고 있습니다.대구수성구저탄고지의행복한재활의학과아래말씀드릴논문은지방가설에대한재평가라는제목으로미국의저명한의학잡지TheAmericanJournalofMedicine에2019년에실렸던내용입니다 다시 말씀드립니다만, 고지방 식사가 고지혈증을 일으켜, 고지혈증을 낮추지 않으면 심혈관계 질환을 예방할 수 없다는 것은 의학계에서는 확실히 가설입니다. 가설! 가설과 진실은 거리가 멀어요. 가설은, 끊임 없이 확인하고 검증해야 할 대상이지, 마치 절대적인 진리와 같이 추종 해야 할 대상이 아니었습니다.(하지만 안타깝게도 저도 전공의 시절이나 그 이후 전문의 자격증을 따서 재활병원에서 과장으로 근무할 때까지 그것이 가설인지 몰랐습니다.) ㅠ.ㅠ 깊이 반성하고 사과합니다.

2019년 미국 의학저널에 발표된 ‘지방가설에 대한 재평가’라는 논문을 보겠습니다.이 논문의 내용을 한마디로 말하면…

LDL을 낮추어도 사망률은 떨어지지 않는다!

이번 연구는 LDL을 낮추는 것이 심혈관질환을 낮춰 사망률을 낮춘다는 지방가설이 30년간 지속되어 왔으나, 이러한 권고에 어긋나는 연구결과가 많아 지방가설에 대한 재평가를 통해 이 문제의 진위를 가리기 위해 올해 실시되었습니다.2005년도부터 2018년도까지 29편의 논문을 통해 스타틴과 같은 고지혈증 약을 쓰거나, 저지방 식사를 해서 LDL을 낮춘 결과가 심혈관 질환을 낮추는지, 사망률을 낮추는 데 도움이 되는지 확인해 보았습니다.

짧게는 2년, 길게는 8년 정도 연구를 했지만 사망률을 낮췄다는 보고는 29건 중 1건뿐이었어요.29개의 연구 중 단 하나를 제외하고는 어떤 연구도 사망률을 낮추는 데 전혀 도움이 되지 않았습니다.사망률을 낮추는데 도움이 되었다는 연구는 2018년도에 나온 것으로 매번 병원에서 일반적으로 고지혈증에 처방되는 스타틴이라는 약물은 아닙니다. 주사제로 개발되어 난치성 고지혈증에만 부분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약물로 지금 바로 자료가 축적되고 있는 상황이고 악성 고지혈증이기 때문에 당연히 위의 국내 연구처럼 250개 이상의 고지혈증 환자에게는 도움이 되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29개 연구 중 심혈관 질환 발생 비율을 낮춘다는 연구는 10개가 있으니 이게 의미가 있다고 말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이런 연구 결과를 보고도 LDL을 무조건 낮추려는 것은 정말 음모가 있는 게 아닌가 하는 의심이 듭니다.

백보 양보해 LDL을 낮추면 심혈관 질환을 낮춘다고 합시다.

그런데 스타틴을 마시고 LDL을 낮췄기 때문에 심근경색은 발생하지 않았습니다만, 뇌출혈이나 폐쇄성 폐질환, 간질환으로 죽는 것은 괜찮은 건가요?

어차피 사망률에는 변화가 없기 때문에 스타틴을 마시면 자신의 사망 원인을 심근 경색 이외의 질환으로 바꾸는 효과를 노리는 것입니까?

전혀 저는 이해할 수 없어요.

국내 처방약 순위를 봅시다.

고지혈증은 미국뿐만 아니라 국내에서도 지방을 나쁜 놈으로 취급하며 저지방 식사를 하라고 한 지 벌써 40년이 넘었어요. 그리고, 이상 지질 혈증 약이 처방된 것도 거의 비슷한 역사가 있습니다. 그러면 고지혈증도 줄어들고, 심혈관 질환도 줄어들고, 사망률도 줄어야 하는 것이 아닙니까? 심혈관 질환과 사망률에 대해서는 이미 언급했습니다. 그렇다면 고지혈증과 관련된 대사증후군, 즉 고혈압, 당뇨, 비만 등도 모두 줄어들어야 의미가 있는 것이 아닙니까?

1977년 미국 FDA가 저지방 위주의 식단을 추천한 이래 80년대부터 당뇨병 유병률이 빠르게 상승하고 있습니다. 확실히 이전에도 조금씩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습니다만, 이번에는 폭발적으로 오르고 있습니다. 지방분을 적게 하여 탄수화물이 주류가 되고 있기 때문에, 이것은 어쩌면 처음부터 예견되었던 것일지도 모릅니다.

1980년대부터 예전과는 비교가 안 될 정도로 비만인구가 늘고 있어요 미국은 현재 비만과 과체중 인구를 합치면 절반이 넘었습니다. 정상적인 사람이 적다는 거죠. 이것이 FDA라는 권위있는 기관이 원하는 결과였을까요? 이제는 정상과 비정상이 오히려 혼동되기까지 했습니다.

오늘 너무 화가 나서 많이 온 것 같아요.

10여 년 전 내가 주류의학계의 고지혈증 치료 지침을 따른 결과 아주 콜레스테롤을 낮춘 상태에서 내 환자에게 제대로 재활을 할 수 없었다고 생각하니 너무 미안하고 안타까웠습니다. 한편으로는 이러한 치료지침으로 의사와 환자를 괴롭히는 주류 의학계 의사결정자들의 미신에 가까운 집단적 신뢰에 크게 화가 나고 있습니다.

물론 많은 선량한 의사들이 그 기준을 지금도 따르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고, 그것도 그 분들의 소신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저는 제 스스로 고지혈증에 대한 실태를 밝히면서 약물에 대한 의존 없이 스스로 관리하고 제 몸으로 증명해 보이고 싶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이상 지질 혈증에 대한 새로운 기준과 음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분명히 말하지만, 저는 모든 동물성 지방과 식물성 지방이 좋다고는 할 수 없습니다. 단순히 지방이 칼로리가 높고 케토시스 상태이면 모든 문제가 해결될 것이라고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이 이야기는 다음 시간에 이어집니다.

감사합니다이상은 행복한 의학 상식을 나누는 닥터 행복이었습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