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혈압(Blood Pressure)이란?
혈액이 혈관벽에 가해지는 압력을 말하며, 심장은 박동 사이에 뛰었다 쉬었다를 반복하므로 높은 수축기 값과 낮은 이완기 값으로 나뉩니다.
피의 압력이 중요한 이유?
신체에 있어 중요하며, 주요 뇌, 심장, 신장, 폐 등은 심장에서 나오는 혈액을 통해 산소나 영양을 공급해야 제 기능을 할 수 있습니다.
적당한 혈압으로 체내에서 순환해야 모든 기능이 원활하게 작동하지만 더 세게 혹은 약해지면 분명히 조금씩 문제가 생깁니다.
피의 압력에도 종류가 달라진다는 사실을 알고 계십니까?
동맥압 심장 동맥에서 나오는 혈압 측정치를 말하며, 심장 박동 주기로 계속 변화합니다.
평균 동맥압 심장 박동 주기에서 이완기와 수축기의 기간을 고려하여 계산한 동맥압을 말합니다.
정맥압 정맥의 내압을 의미하며, 심장에서 멀수록 높고 흉강 내에서는 음압이 됩니다.

정상 혈압 범위
일반적으로 120/80mmHg가 정상범위입니다.
이 수치들을 보면 앞의 120은 수축기를 의미하고 뒤의 80은 이완기를 의미하고 있는데 이 범위 안이면 괜찮다고 할 수 있습니다.
정상 범위를 초과하면 고혈압, 낮으면 저혈압이겠죠?

위의 참고지표를 보시면 알 수 있듯이 단계가 있습니다.
120/80 미만: 정상 139/89 미만: 고혈압 전단계 159/99 미만: ‘1단계 160/100 이상: ‘2단계

판정 수치가 얼마나 높으면 고혈압 범위에 들까요?
140 (수축기) / 90 (이완기) mmHg 입니다
한국 사람들은 특히 고혈압과 많이 관련되어 있고 그래서 더 조심해야 할 것들 중 하나입니다.
30, 40, 50대에서는 여성보다 남성보다 높은 유병률을 보이지만 60, 70대에서는 여성이 더 높은 유병률을 보이는 것이 현실 상태입니다.
즉, 특정 성별에 나타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우리 모두가 조심해야 할 부분입니다.
고혈압은 뇌졸중, 관상동맥 질환, 신부전 등으로 각종 합병증을 유발하여 우리 생명에 직접적인 위험을 주는 병입니다.
다만 특별한 증상이 없어 검사를 하기 전까지는 알아차리기 힘들고 판정을 받아도 쉽게 느낄 수 있는 고통이 없기 때문에 그다지 건강적 신호라고는 느껴지지 않습니다.
고혈압의 종류도 두 가지가 있습니다.
일차성 고혈압
전체 환자의 90% 이상이 해당하는 일차성의 경우 원인을 알 수 없습니다.단, 현재의 추측으로는 염분을 필요 이상으로 섭취하여 체내의 혈류량이 증가하거나, 혹은 다양한 호르몬의 균형을 잡지 못하고, 말초 혈관의 저항치가 커졌을 때에 생기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또한 음주, 흡연, 유전성, 운동 부족, 노화 진행, 자극적인 식습관 등도 들 수 있습니다.
이차성 고혈압
어떤 질병으로 덩달아 혈압이 높아지고 있는 상태입니다. 1차 성과와 반대로 주로 젊은 사람들에게 나타나는데 원인을 먼저 찾는 게 우선입니다.보통 신장 질환인 만성 신부전이나 신부전성 고혈압이 주요 원인입니다.

반대의 경우를 한번 봐봅시다.
어느 정도 수치가 낮으면 저혈압 범위에 들어가나요?
90(수축기)/60(이완기)mmHg이거나 이전 수축기 수치가 100mmHg이하일때 판정합니다
저혈압에도 마찬가지로 종류가 나뉩니다.
- 기립성 저혈압
- 누워있는 상태에서는 복부나 다리에 혈액이 많이 모이는데, 이때 갑자기 앉거나 일어서면 심장으로 돌아가는 피의 양이 줄어듭니다.나이가 들어 노화가 진행되는 상태이거나 당뇨병, 신장질환 혹은 항우울제와 같은 약물을 지속적으로 투여하는 경우 자율신경계의 보상기능이 일시적으로 혈압을 떨어뜨려 현기증이나 쓰러질 수 있습니다. 노인이 땀을 많이 흘리는 경우나, 앉아 있다가 갑자기 일어나는 경우 등에 어지러움을 느끼는 것이 이 기립성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2. 식후 저혈압
과식하면 대량의 혈액이 소화 계통으로 이동되지만, 그 때 다른 계통에 혈액 공급이 부족합니다. 정상적이라면 장의 운동으로 다른 장기에 해가 되지 않도록 조절할 수 있지만, 노약자나 특정 질병으로 제어할 수 없는 경우에는 저혈압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조금씩 자주 먹는 습관을 들이도록 해요.
3) 미주 신경성 실신
갑자기 화가 나거나 두려움으로 떨거나 할 때 등에 심장으로 돌아오는 혈액의 양이 줄어듭니다.심장은 그것을 보상하기 위해 맥박수와 혈압을 올리고, 부교감 신경은 활성화하여 교감 신경을 억제합니다. 이러한 억제가 과도하게 진행되면 정상범위로 내려갔던 혈압이 더욱 낮아져 저혈압이 되고 맥박수도 속도에서 기준을 초과하기 때문에 느리게 변화합니다.이 때 부교감 신경을 미주신경이라고 하며, 실신으로 표현하게 됩니다.
내용이 너무 길어질 것 같네요!
이번에는 고혈압과 저혈압에 좋은 음식과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