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 얘기] 같은 뇌졸중 환자인데 사용하는 항혈전제는 왜 달라요?[중앙일보 헬스미디어] 입력 2019.11.01 16:28 https://jhealthmedia.joins.com/article/article_view.asp?pno=21040
#102 혈전의 종류에 따른 항혈전제 구분
#102 혈전의 종류에 따른 항혈전제 구분
사진을 크게 보면 일러스트 치에승히 [email protected]의 박 모 씨(68)는 어느 날, 오른 팔이 마비되고 말이 제대로 나오지 않고 대학 병원 응급실을 찾았다. 자기 공명 영상(MRI)검사 결과 뇌의 왼쪽 부위의 혈관이 막히는 뇌 경색으로 진단되었습니다. 한 모 씨(72)는 길을 가다가 갑자기 온몸이 굳어지는 의식을 잃고 쓰러졌습니다. 진단 결과 박 씨처럼 소뇌 부위의 혈관이 막히는 뇌 경색 때문인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현재 두 사람은 뇌 경색의 재발을 막기 위해서 항혈전제를 복용하고 있습니다. 항혈전제는 혈관 안고 혈전 생성을 억제하는 약으로 급성 심근 경색·뇌졸중 같은 심장 뇌 혈관 질환의 예방에 사용됩니다. 그러나 박 씨와 한 씨는 다른 종류의 항혈전제를 마십니다. 박 씨는 항응고제를 그는 항 혈소판제를 복용합니다. 마찬가지로 뇌 중풍는데 왜 각기 다른 약을 마실까요? 이번 주의 약 얘기로 소개합니다. 사진을 크게 보는 한국인 사망 원인 2,3위를 차지하는 심장 질환과 뇌 중풍은 모두 혈전(혈병)가 원인으로 생기는 병입니다. 혈전은 “피의 마개”을 뜻하는데, 혈관 속을 흐르는 혈액의 일부가 굳어 형성된 덩어리의 일입니다. 혈전이 쌓이면 혈관이 좁아지거나 막혀서 혈액 순환이 방해됩니다. 산소와 영양소의 공급이 중단되면 심근 경색, 뇌졸중 등의 치명적인 질환이 발생하고 빨리 대처하지 못할 경우 목숨을 잃는 것이 있습니다. 실제로 혈전은 손상된 혈관을 수복하기 위한 과정에서 형성되는, 즉 생존을 위한 필수적인 존재입니다. 피부에 상처가 붙으면 딱지가 할 수 있도록 혈관이 손상되면 출혈을 막기 위해서 혈소판과 혈액 응고 인자가 모여서 혈전을 만듭니다. 문제는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등 만성 질환으로 혈관이 약해진 환자는 이러한 혈전이 너무 많이 만든다는 점입니다. 특히, 혈전으로 인해서 마음·뇌 혈관 질환을 한번 경험한 환자는 이미 혈관이 나빠질수록 나빠진 상태여서 특별히 약물을 먹고 혈관의 건강을 관리해야 합니다. 사진을 크게 본다.혈전의 종류에 따라서 약도 달라지는데 항혈전제는 왜 항 혈소판제, 항응고제 2종류가 개발되었을까요? 그것은 심장 뇌 혈관 질환의 종류, 보다 구체적으로는 동맥, 정맥 등 혈관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혈전의 종류가 다른 이를 효과적으로 예방하는 약물에도 차이점이 있기 때문입니다. 동맥에 문제가 있을 때 발생하는 급성 심근 경색, 협심증, 뇌졸중은 항 혈소판제를 정맥 문제에 의한 심방 세동, 마음 부정맥 혈전증에는 항 응고제를 사용하는 편이 훨씬 치료 효과가 큽니다. 혈전은 같은 핏덩어리인데 어느 혈관에서 만들어졌는지에 의해서 생성 과정은 물론 더 색깔도 다릅니다. 실제로 동맥 혈전은 흰색이 돌고 백 혈전 정맥 혈전은 붉은 빛을 띠고 빨간 혈전이라고 부릅니다. 동맥은 심장이 내뿜는 혈액이 온몸에 나온다”길”에 흐르는 피 액량도 많고 혈류 속도도 빠릅니다. 그만큼 혈관이 손상되기 쉬운 것인데, 이 때 상처를 메우고 백혈구와 혈소판이 빨리 응집해서 만든 것이 백색 혈전입니다. 한편 정맥에서 만들어지는 적색 혈전은 혈액이 쌓이는 것이 원인인 경우가 많습니다. 정맥은 심장으로 돌아오는 혈액이 흐르는 길로 혈관의 압력이 거의 없는 혈류 속도도 느립니다. 특히 상처가 아니더라도 혈액 중의 혈소판이 달라붙어 커지고 여기에 혈액 응고 인자가 겹겹이 쌓인 적색 혈전을 형성하게 됩니다. 사진을 크게 보면 항혈전제 병용 요법 연구 속도 적색 혈전과 백색 혈전을 없애려면 각각 혈소판, 혈액 응고 인자라는 주요”재료”의 작용을 억제해야 합니다. 이런 이유에서 동맥, 정맥 등 문제가 된 혈관에 의해서 항 혈소판제, 항응고제 등 다른 치료제를 사용입니다. 심장 뇌 혈관 질환으로 병원에 입원하면 심장 초음파·심전도·MRI검사 등 다양한 검사가 실시되는데 이를 통해서 어떤 혈관에 문제가 있는지를 파악하고 이에 따른 약물을 사용하게 됩니다. 뇌 중풍의 경우 동맥에서 떨어진 백색 혈전이 뇌 혈관을 막다거나 정맥(심장)에 고인 혈액이 적색 혈전이 되어 뇌로 이동할 경우 모두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같은 뇌졸중으로 한 사람은 항 혈소판제, 한명은 항응고제를 복용 하는 이유입니다. 실제로 심장 뇌 혈관 질환을 완벽하게 예방하려면 혈소판과 혈액 응고 인자의 작용을 모두 억제하는 게 제일 좋을까요. 그래도 항 혈소판제와 항응고제를 한 환자가 동시에 복용하는 것은 드물어요. 심장 뇌 혈관 질환의 예방 효과와 함께 출혈 등의 부작용의 위험도 동시에 커지기 때문입니다. 혈소판과 혈액 응고 인자를 1개만 억제해도 출혈의 위험성이 높지만 이를 모두 억제하는 장기나 혈관이 손상했을 때 이를 복구하기 힘들어 지자 오히려 더 위험한 상황에 직면하는 경우가 있습니다.사진을 크게 보는데, 요즘 들어서는 이런 출혈 부작용을 감소시킨 약이 등장하고 항 혈소판제, 항응고제 동시 사용에 관한 연구도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와파린의 뒤를 이어 개발된 항 응고제”NOAC”는 특정 혈액 응고 인자에만 작용하는 혈전 억제 작용은 유지하면서 출혈 부작용은 줄였지만 최근 동맥 질환을 앓은 환자에 항 혈소판제와 “NOAC”를 함께 사용한 경우 출혈 위험은 비슷한 반면 동맥의 혈전 예방 효과는 높다는 보고가 나오기도 했습니다. 부작용이 없는 약으로 온몸 혈관의 건강을 관리할 날이 올지 기대되는군요. 도움말:강동 성심 병원 심장 혈관 내과의 서울·워 누리 교수, 고려대 안암 병원 순환기 내과의 박·재현 교수, 고려대 구로 병원 신경과 김·치교은 교수, 서울 아산 병원 신경과 권·승옥 교수(약에 대한 문의 사항 있으시면 메일로 보내세요. 주제로 다뤄서”약의 이야기”에서 채택합니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