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망, 나스닥, 투자넷플릭스 주가 폭락 원인

안녕하세요~! 경제적 독립을 통해 자유로운 생활을 꿈꾸는 곰바입니다.오늘은 최근 넷플릭스의 주가 폭락 원인에 대해 알아보고 앞으로의 전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넷플릭스

넷플릭스는 미국의 OTT 전문 서비스 업체이자 DVD 대여업으로 시작한 기업이었으나, 끝나가는 DVD 대여사업을 일찍 접고 새로운 온라인 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를 일찍 시작하면서 이제 누구도 부인할 수 없는 글로벌 NO.1 OTT 기업이 되었습니다.

넷플릭스의 한국 진출은 국내 방송산업에도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인터넷 영상의 시청 환경이 보급되기 이전까지는 사람들이 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가장 가까운 수단은 TV였으며, 자연스럽게 기존의 영상콘텐츠 사업은 SBS, KBS, MBC 등 방송사가 주도해 제작하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최근 방송국의 위력은 점차 떨어지고 있으며 온라인 플랫폼의 위력은 더욱 강해지고 있습니다.

지금은 집에 TV가 없는 집은 많지만 스마트폰이 없는 집은 없어 유튜브나 넷플릭스를 통한 영상시청이 더 편해진 시대에 TV를 통한 영상시청은 접근성이 떨어지면서 자연히 경쟁력이 떨어지고 있습니다.

물론방송국에서제작하는영상콘텐츠가강력한경쟁력을갖고있다면영상을찾아보는사람들이있을수있겠지만평균적으로OTT서비스에서제작하는콘텐츠보다낮기때문에자연스럽게OTT가강점을발휘하는시장이되어있을것입니다.

●넷플릭스 주가 하락 원인

미국 나스닥 주식시장에 관심이 많으신 분들은 넷플릭스가 하루 사이에 20% 이상 폭락한 걸 알고 계시겠지만

넷플릭스의 성장세는 꾸준히 이어졌지만 이렇게 폭락하기는 처음이라 많은 분들이 관심 있게 보고 있습니다.

우선 이번 넷플릭스의 주가 폭락의 원인은 두 가지로 좁혀질 것 같습니다.

첫번째로, 넷플릭스의 구독자수가 부진하고 있는 점입니다.2021년 기준으로 월가에서 예상한 넷플릭스 신규 가입자 수는 839만 명 정도로 예상했지만 실제 2021년 실적 발표 내용을 확인해보니 예상치 못한 828만 명의 신규 가입자를 확보한 것으로 나타났고, 넷플릭스가 발표한 2022년 1분기 예상 신규 가입자 수도 지난해 1분기 약 400만 명보다 낮은 250만 명으로 발표돼 넷플릭스가 발표한 것으로 보인다.

둘째, 넷플릭스 요금 인상, 둘째, 최근 추가로 실시된 넷플릭스 요금제 인상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넷플릭스는 가장 주력 시장인 미국과 캐나다에서 추가 요금제 인상을 추진했습니다.

가장 높은 화질을 제공하는 프리미엄 요금제의 경우, 19.99달러로 약 2만4천원, 아주 높은 가격으로 책정되어 있지만,

넷플릭스의 강력한 경쟁사로 주목받고 있는 디즈니의 경우 디즈니 플러스라고 하는 OTT 서비스를 공급하고 있으며, 디즈니 역시 자체 IP를 활용한 콘텐츠를 많이 보유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디즈니 플러스 요금은 9.99달러이고, 한국에서 서비스 중인 요금은 9,900원으로 넷플릭스의 절반밖에 없는 상황이에요.

경쟁사보다 두 배 정도의 가격 정책을 펴고 있다는 것은 아무래도 부정적인 반응이 나오는 것이 당연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저도 넷플릭스를 몇 년 동안 구독하고 지속적으로 시청하고 있지만 최근 요금제 인상에 대해 불만이 있어요.

반면에 디즈니 플러스는 국내 시장 진출 시 9,900원이라는 매우 공격적인 가격 정책을 적용해서 저도 1년간 구독하면 추가 할인이 적용되고, 2022년에는 디즈니 플러스도 추가로 구독해서 이용하고 있는데 가격 대비 만족도가 매우 높아서 좋은 것 같습니다.

하지만 넷플릭스의 재무제표 및 사업보고서를 보면 재정구조도 나름대로 튼튼하고 영업이익도 지속적으로 꾸준히 상승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이번 악재가 겹쳐서 20% 이상의 급락은 조금 지나친 모습이었다고 생각하며, 투자자 입장에서 본다면 추가 매수하기에 좋은 타이밍으로 생각해도 좋을 것 같습니다.

모두 힘내서 부자가 될 수 있도록 파이팅입니다~!감사합니다。

#재테크 #노후준비 #은퇴 #경제적독립 #저축 #예적금 #부동산 #주식 #퇴직 #투잡 #조기은퇴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