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자동차 조향장치 시장 동향 자율주행차의 필수 부품,

자율주행차 필수부품, 미국 자동차 조향장치 시장동향 2021-10-08 미국 디트로이트 무역관 고우백 – 미래 자동차 변환에도 조향장치는 필수부품 – 전기화차 보급 확대로 유압식에서 전기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으로 빠르게 전환 중 – 미국 2020년 한국산 핸들 수입시장 3위, 수입량 약 2억9천만달러 –

상품명 및 HS Code

HS Code 870894(Steering wheels, steering columns, and steering boxes)는 자동차 핸들 및 조향 장치(steering system) 관련 부품의 총칭이다. 조향장치는 조향핸들, 조향축 등으로 구성되어 자동차의 바퀴가 구르는 방향을 조종하는 장치이다. 조향장치는 크게 기계식과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으로 나뉘며 기계식은 현재 거의 쓰이지 않는다.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은 유압식(hydraulic power steering, HPS)과 전기식(electric power steering, EPS)으로 분류된다.

시장 동향

시장 조사기관 IBIS World에 의하면, 2020년의 미국 조향 장치 및 서스펜션 제조 시장규모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전년 동기비 약 17.8%감소한 약 129억달러가 되었다. 세부분류로는 △SUV 및 경량트럭이 55.5%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기타 △승용차 28.7% △수출시장 9.4% △대형트럭, 버스 및 농기계 6.4%가 있다.

빠른 백신 보급으로 조향 장치 및 서스펜션 제조 시장은 빠른 속도로 회복되어 2021년에는 규모가 약 142억달러를 기록하고 향후 5년간 연평균 0.5%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동시장의 주요 성장 동력으로서 다음의 3가지를 들고 있다. 첫째는 소비자 지출 확대로 증가하는 신차 판매, 둘째는 엄격한 환경규제 트렌드에 의한 전기화(Electrification), 셋째는 자동차의 보급확대로 유압식에서 전기식 파워 스티어링 조향장치로의 변환이다. 기존 유압으로 작동하는 스티어링 장치 대신 전기모터를 이용하는 전기식 조향장치는 속도별로 최적의 조향력을 제공해 연비 개선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파워 스티어링 오일을 사용하지 않아 친환경적이다.

미국 자동차 조향 장치 및 서스펜션 제조 시장 분포도 자료 : IBIS World(‘21.7.)

수입동향 및 대한수입규모

HS Code 870894(Stering wheels, steering columns, and steering boxes) 기준으로 2020년 미국 시장의 총수입규모는 약 37억달러가 되고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약 16.6%감소했다.

2020년 기준 멕시코 제품 수입이 58.0%의 수입 비중을 차지해 압도적으로 많았다. 한국산 핸들 수입량은 약 2억9천만달러로 수입국 3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전체 수입 비중의 7.8%를 차지했다.

HS Code 870894미국 수입 현황:연간 기준(단위:US$천,%)의 순위(2020)국명 2018년 2019년 2020년 2020년의 수입 비중의 증감률 2020/20191멕시코 2,303,9232,455,8252,143,87458.0%-12.7%2쥬은국 404,526359,586306,6718.3%-14.7%3한국 371,142359,614289,7027.8%-19.4%4일 본 492,274399,493277,5437.5%-30.5%5독일 304,717242,733194,1925.3%-20.0%6인도 155,762136,43983,4452.3%-38.8%7캐나다 97,68980,80969,5601.9%-13.9%8공동 52,97960,33355,5781.5%-7.9% 9로마니아 26,53835,31336,09 31.0% 2.2% 10브라질 44,17040,44332,1460.9%-20.5%,기타 290,976257,972206,5015.6%-20.0% 합계 4,544,6954,428,5593,695,306:306

경쟁 동향

미국 자동차 조종 장치 및 서스펜션 제조업체의 시장점유율, 집중도는 낮은 편으로 상위 4개의 생산업체가 시장의 20.7%를 차지한다. 주요 기업에서는 현대모비스와 보쉬가 각각 6.4%, 6.3%의 시장점유율을 차지한다. 두 기업 모두 올전화자동차와 자율주행자동차의 핵심 부품인 전기식 파워 스티어링 개발과 생산에 집중하고 있다. 운전자 조작 없이 차량이 스스로 주행하는 자율주행 환경에서 조향장치의 정상 작동은 승객 안전과 직결되는 필수 사항이어서 관련 업계에서는 어떤 상황에서도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 경쟁이 치열하다.

2020년 미국 자동차 조종 장치 및 서스펜션 제조사 시장점유율 자료 : IBIS World(‘21.7.)

유통 구조

미국 자동차 조종 장치 및 서스펜션 유통 구조는 크게 자동차 기업 납품용이나 애프터마켓 전용으로 구분된다.

(완성차 기업 납품용 유통구조) 3차 벤더(원재료 공급) -> 2차 벤더(서브컴포넌트(subcomponents) 생산) -> 1차 벤더(차량 생산에 이용되는 완제품 생산) -> OEM(완성차 제조) -> Dealership(최종 소비자에게 판매)

해당 품목은 애프터마켓 시장도 비교적 활성화된 항공편으로 첫 번째 벤더부터 Auto Zone, Advance Auto Parts, Pep Boys와 같은 대형 애프터마켓 자동차 부품 유통사에 공급되어 최종 소비자에게 판매된다.

미국자동차 조향장치 및 서스펜션 시장 유통구조 자료 : IBIS World

관세율, 인증

미국 국제무역위원회(U.S. International Trade Commission)에 따르면 HS Code 870894(Stering wheels, steering columns and steering boxes)의 일반관세율은 농업용(870894.10) 무관세, 무관세 제품 외 모든 것이 적용되는 농업용이다.

미국에서 판매되는 모든 조향장치는 연방자동차 운송회사 안전관리국(Federal Motor Carrier Safety Administration) 지정 49CFR393.209 기본사항을 만족해야 하며, 품질인증으로는 ISO/TS 16949:2009가 미국시장 진출을 위해 필수적이다.

시사점

완성도 높은 조향장치는 전기차와 자율주행 자동차의 실용화를 위해 필수적이다. S대학교 자동차공학과 H교수는 “ADAS(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 적용기술 중 자동브레이크, 선행차량 추종기능인 Adaptive Cruise Control(ACC)기술, 차선유지기능 등에도 조향장치 제어와 연동되어 있어 전기차 보급 및 자율주행기술의 급속한 확대 적용이 진행되고 있어 전기식 조향장치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고 전했다. 특히 조향장치는 승객안전과 직결되므로 고장안전 등 조향안전성을 높이는 기술경쟁력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며 기존의 유압식 파워 조향장치에서 전자식 조향장치로 확대된 제품군이 필요하다.

자료: IBIS World, Global Trade Atlas, 미국국제무역위원회(U.S. International Trade Commission(USITC), 연방자동차운송회사 안전관리국(Federal Motor Carrier Safety Safety Administration), 미국국제무역위원회(USITC), 연방자동차운송회사 안전관리국(Federal Motord) 자동차운송회사 자동차운송시장 필수차량관리국(자동차판매차량정보상업조향금지) 차량판매장비 ‘자동차판매장비 변경’에서 운영자 이용, Car 다만, 사진, 화상의 경우는 제삼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